최근은 나에게 전달되는 내용이 거의 메일이나 메시지, 카카오 톡 등 온라인을 활용한 방식으로 전달되고 있어 예전처럼 우편물을 일일이 받지 않아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만 일부 우편물의 경우는 반드시 취인에게 직접 건네야 하는 경우도 있고 중요한 개인 정보가 포함된 우편도 많아서 다른 곳에 잘못 전달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그러나 집을 이사하거나 직장을 옮기고 주소를 변경해야 할 경우 일일이 연락하여 변경하는 것도 귀찮고, 변경해야 하는 곳이 많게는 누락이 생기기도 합니다.
나도 똑같이 얼마 전 이사를 하면서 우편물 접수처를 변경 했는데 여기저기 가입하는 곳이 많기 때문에 너무나 성가시고 귀찮게 느껴졌습니다.
몇군데 전화를 걸어 귀찮아서 살펴보니 한번에 우편물의 주소지를 변경하는 원 클릭 주소 변경 서비스가 있어서 한번 이용하고 봤는데.만약 나처럼 일괄적으로 우편물의 주소 변경이 필요한 분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로 한번 진행하고 보세요.
먼저 제가 이용한 서비스는 KT 무빙(kt moving)이라는 원클릭 서비스였습니다.
현재 PC뿐 아니라 모바일에서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한번 이용해주세요.
참고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므로 별도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KT를 이용하지 않는 고객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우리 가족은 KT를 사용하고 있지만 나는 유플러스 이용자임에도 별도의 제한사항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계속 신청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우편물 수령지역과 이전할 주소를 입력하신 후 변경신청을 하시면 되는데요.
주소입력이 완료된 후에는 필수약관에 대한 동의와 모바일, 공동인증서, 아이핀 등을 통한 본인인증을 진행합니다.
별도의 선택약관은 없으며 인증을 완료하시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는 주소지를 변경할 기업을 선택할 수 있는데 첨부한 자료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통신사부터 은행, 카드, 보험, 증권사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합니다.
다만 KT와 제휴를 맺고 있는 기업에 한해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원클릭 주소 변경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제가 변경하고자 하는 곳이 포함되어 있는지 사전에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원하는 제휴사를 모두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집과 직장을 구분하는 항목이 나옵니다.
사실상 같은 주소로 직장과 자택을 구분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기 때문에 만약 자택과 직장 주소를 모두 변경하시는 분들은 같은 방법으로 두 번 진행하시면 됩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신청자의 이름과 연락처, 변경할 주소지를 올바르게 입력했는지에 대한 부분을 다시 한번 확인하시고, 모두 정상적으로 입력한 경우 신청 버튼을 눌러 마무리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우편물 주소 변경 서비스에 대해 알아봤는데 비용이 들지 않는 무료 서비스이니 필요하신 분들은 잘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