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철도사고조사위 사고지점에서 3km 앞서 열차 바퀴 발견 당초 터널 내 구조물 추락 분석과 배치, 열차 정비·부품 문제?5일 충북 영동군 영동읍 영동터널 인근에서 발생한 탈선사고 KTX 열차의 바퀴가 빠져 있다.
(사진=뉴시스)충북 영동 터널 부근에서 탈선한 부산행 KTX-산천 열차 차륜이 사고 지점 3km앞에서 발견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번 탈선 사고의 원인이 인재일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열차 정비·부품 등의 문제로 바퀴가 떨어지고 탈선 사고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국토 교통부는 철도 특별 사법 경찰대를 이 사건의 조사에 투입했다고 한다.
이달 5일 서울 역을 출발해서 부산 역으로 향하던 KTX-산천 열차가 영동~김천 카메 오마의 영동 터널 부근에서 객차 1량(4호 차량이 궤도를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열차에는 300여명의 승객이 타고 있었다.
이 사고로 유리창의 파편과 선반 위의 물건 낙하로 7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6일 KORAIL등에 따르면 현재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인 국토 교통부 항공 철도 사고 조사 위원회는 탈선한 KTX4호 차량의 바퀴 1개를 사고 당일인 5일 오후 충북 다섯 나다 터널 내에서 발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나다 터널은 탈선 사고 지점인 영동 터널 부근보다 3km정도 전에 떠나고 있다.
이에 대한 열차 전문가 사이에서는 다섯 나다 터널에서 이미 열차 차륜이 빠졌으며 차량 결함을 인식한 KTX가 자동 제동을 걸었으나 열차가 관성에서 영동 터널 부근까지 가는 도중 탈선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고 직후 KORAIL은 “사고 원인은 터널 내의 미상의 물체와 충돌하고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정확한 원인은 항공 철도 사고 조사 위원회에서 조사할 예정이다”이라고 밝혔다.
”우발적 사고”를 든 것.그러나 항공 철도 사고 조사 위원회의 조사는 이와 배치되는 것으로 열차 탈선 원인이 “인재”일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당초 KORAIL이 내놓은 터널 내의 구조물 추락 사고가 아니라 열차 정비 부실과 부품 결함으로 발생한 사고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뜻이다.
특히 국토 교통부가 수사권을 가진 국토부 산하 철도 특별 사법 경찰대를 이 사건의 조사에 투입한 것도 “정비 부족·부품 문제”의 가능성을 고려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향후의 조사 결과에 따라서는 열차 정비·운행 등 관계자 문책에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사고 원인은 다각적으로 추정할 수밖에 없는 단계이다.
항공 철도 사고 조사 위원회의 최종 결론이 나올 때까지는 정확한 사고 원인을 단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국토 교통부 항공 철도 사고 조사 위원회의 조사는 통상 수개월에서 수년 간 열린다.
앞서고 2018년 12월에 발생한 강릉선 선로 전환기 에러 KTX열차 탈선 사고의 최종 조사 결과는 1년 만의 2019년 12월에 나섰다.
2017년 9월에 발생한 중앙선 겐토쿠~양평 구간 무궁화호 시험 운전 열차 기관차 충돌 사고 조사 결과는 1년 6개월 만의 2019년 2월에 공표되었다.
그래서 이번 사고 원인 조사 결과도 적어도 1년 이상이 걸린다는 전망도 나온다.
국토 교통부 철도 운행 안전과 차량 분야의 철도 안전 감독 관계자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현재 항공 철도 사고 조사 위원회가 조사를 하고 있지만 철도 특별 사법 경찰대가 조사를 하는지 잘 모르고 담당자도 아닌 “이라고 말했다.
KORAIL관계자는 “철도 특별 사법 경찰대가 투입되는 인재의 가능성도 열어 조사를 하고 있다고 이해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https://www.mcnews.co.kr/75406[매일건설신문]영동터널 KTX 탈선 사고…인재 원인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당초 터널 내 구조물 추락 분석과 배치, 열차 정비·부품 문제? 5일 충북 영동군 영동읍 영동터널 인근에서 발생한 탈선사고 KTX 열차 바퀴가 빠져 www.mcnews.co.kr/조영광 기자